![]() |
부산 관용사의 범종 |
[불교상식/기초]
불교의 불전사물(佛殿四物)이란? (범종, 법고, 목어, 운판)
불교에서는 불전사물(佛殿四物)이라고 하여
아침·저녁 예불 때 치는 네 가지 불구(佛具)가 있습니다.
범종(梵鐘), 법고(法鼓), 목어(木魚), 운판(雲版)이 그것인데,
원래 선종에서 때를 알리거나 대중을 모으기 위한 신호용으로 쓰였으나
지금은 사찰에서 가장 중요한 의식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사물은 법고(法鼓) → 범종(梵鐘) → 목어(木魚) → 운판(雲版) 순으로 치며,
법고(法鼓)는 땅위에 사는 중생을,
범종(梵鐘)은 천상과 지옥중생을
목어(木魚)는 수중에 사는 중생을,
운판(雲版)은 공중을 날아다니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울린다고 합니다.
선찰대본산 범어사 법고소리
법고(法鼓)는 '법을 전하는 북'이라고 하여,
북소리가 사찰 경내에 널리 울려 퍼지듯이
불법(佛法)의 진리가 중생의 마음을 울려 깨우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합니다.
몸통은 나무로 만들고, 음양의 조화에 어긋나지 않게,
두드리는 면을 한쪽은 수소, 다른 쪽은 암소 가죽을 사용하며,
나무로 된 두 개의 북채로 마음 심(心)자를 그리며 두드린다고 합니다.
이처럼 법고는 음과 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화합과 조화의 소리로 예불시간에 가장 먼저 울려 퍼집니다.
양산 통도사 범종소리
범종(梵鐘)은 불교 의식에 있어가장 중요한 법구로 지옥의 중생을 제도한다고 하여,
“종소리가 지옥까지 울려 퍼지라”라는 뜻에서
종 입구가 아래를 향하고 있으며,
그 소리를 들은 중생은 바른 깨달음을 이루어 극락왕생한다고 합니다.
범종은 치는 횟수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는데,
부처님으로부터 6조 혜능까지 이어진 법맥이 28명이란 뜻에서 28번,
불교(佛敎)의 세계(世界), 곧 33천을 의미(意味)하여 33번,
백팔번뇌(百八煩惱)를 벗어나라는 뜻에서 108번을 친다고 합니다.
부석사 목어/운판소리
목어(木魚)는 물 속에 사는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는 의미가 담겨있는 물고기 모양의 법구(法具)입니다.
그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선종(禪宗)에서 사찰 규범 지침서로 삼았던 <백장청규(百丈淸規)>에 의하면
물고기는 밤낮으로 눈을 뜨고 있으므로 수행자가 졸지 말고,
불법을 닦으라는 뜻에서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어졌으며,
목어를 두드려 잠을 쫓고 정신을 깨우기 위한 법구(法具)로써 쓰였다고 합니다.
운판(雲版)은 전체적인 모습이 뭉게 구름 형태를 띄는
청동 혹은 철로 만든 법구인데,
허공을 떠도는 영혼을 천도하고,
공중을 날아다니는 모든 중생을 제도한다는 뜻이 담겨있고,
수(水), 화(火) 상극(相剋)의 오행(五行)의 원리에 따라
구름모양으로 만들어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주술적인 의미가 담겨 있다고도 합니다.
참고로 불교의식 때 쓰였던 이 불전사물(佛殿四物)은
민간으로 전해져 북, 장구, 징, 꽹과리로 이루어진
사물놀이로 발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마이템플 부적연구소의 자료는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