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상식/기초]
불교에서 말하는 인과응보(因果應報)란?
<인연에 의한 과보>
불교에서 말하는 인과응보(因果應報)란
불교의 인연설(因緣說)과 윤회사상(輪回思想)에서 비롯된 것으로
因(인할 인), 果(실과 과), 應(응할 응), 報(갚을 보)를 쓰며,
전생에 지은 선(善)과 악(惡)의 인연에 응하여 화(禍)와 복(福)의 갚음을 말합니다.
인간을 포함한 존재하는 모든 것은
태어나면서부터 선과 악으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행동에 따라 선과 악으로 나타나는 결과이기에
악한 과거 위에 선한 미래가 다가올 수는 없습니다.
즉, 존재로써 지어놓은 업의 인과관계는 피할 수 없는 인연의 결과입니다.
부처님께서는「과거의 일을 알고저 할진대 현재의 과보를 보라.
미래의 과보를 알고저 할진대 현재의 행위를 보라!」고 하셨습니다.
곧 선한 업(業)에는 선한 과보가, 악한 업(業)에는 악한 과보가 생기는 것입니다.
하지만 벌을 받아야 할 사람이 떵떵거리며, 잘 살아가는 모습을 볼 때,
인과응보(因果應報)가 틀린 것만 같아 화가 치밀어 오르기도 하는데,
이는 과거에 지은 업(業)이 언제 과보로 나타나느냐는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이 과보의 시기에 따라
순현보(順現報), 순생보(順生報), 순후보(順後報)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순현보(順現報)란,
이 몸을 가지고 지은 업을 이 몸으로 있을 때 과보를 받게 되는 것이고,
순생보(順生報)란,
이 몸을 가지고 저지른 일을 바로 다음 생에 부딪히는 것이며,
순후보(順現報)란,
지금 저지른 업에 대해 여러 생을 건너 뛰어 받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처럼 이 세상의 구성요소로써 시간의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한
개인도 가족도 국가도 온 세계도 그 자체가 뿌린 씨는 계승될 것이니,
어찌 쉽게 잘 되고 못됨을 속단할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윤회의 수레바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과거에 지은 무거운 업장(業障)을 소멸시켜야 하는 것입니다.
인과(因果)에 의해서 생긴 이 업(業)에서 벗어나기 위해
보편적인 방편으로 부적을 쓰기도 하고,
업이 일어나는 순간을 알아차려 벗어나는 관법수행,
스스로를 낮추는 참회기도를 통해 지성을 드리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처님의 올바른 가르침을 따라,
자신이 만든 인연의 과보에 대해 책임을 지며,
스스로를 내려놓아 나와 남을 분별하지 않음에 있는 것입니다.
즉, 마음만이 아닌 행함으로써 내려놓으라는 것입니다.
늘 좋은 날 되소서! _()_
마이템플 부적연구소 (http://mytemple.co.kr)
<마이템플 부적연구소의 자료는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