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마산 관용사로 올라가는 계단 |
[불교상식/기초]
도선국사의 비보사찰(裨補寺刹)이란?
(운주사, 호압사, 관음사)
우리나라에서 풍경이 좋은 명산에 오르면 잠시 쉬었다 가라는 듯
발걸음을 이끄는 이름난 사찰이 곳곳에 있습니다.
이는 후삼국말(신라말 9세기 무렵)에서 고려초까지 활동한
풍수지리의 대가이신 선승 도선(道詵,827~898)국사의
비보사찰사상(裨補寺刹思想)이 전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도울 비(裨)와 도울 보(補)를 쓰는 비보사찰사상(裨補寺刹思想)은
밀교(密敎)의 택지법(擇地法)과 음양오행설의 풍수지리설에 근거한 사상으로
"고려국사 도선전"이라는 고려말의 문헌에서는
비보(裨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만약 병이 들어 위급할 경우 곧장 혈맥을 찾아
침을 놓거나 뜸을 뜨면 곧 병이 낫는 것과 마찬가지로
산천의 병도 역시 그러하니,
절을 짓거나 불상을 세우거나 탑을 세우거나 부도를 세우면
이것은 사람이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것과 같은지라."
즉, 산세(山勢)·지세(地勢)·수세(水勢)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그 기운이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한 곳은 필히 화가 생기므로
풍수적으로 과하거나 부족한 곳에 재앙을 막고자 세운 절이
비보사찰(裨補寺刹)입니다.
![]() |
호압사(虎壓寺)의 대웅전과 삼성각 |
예를 들어보면, 서울 삼성산에 자리한 호압사(虎壓寺)라는 사찰은
삼성산의 산세가 마치 호랑이가 사냥감을 잡아먹을 듯한 형국을 하고 있어
호랑이의 꼬리에 절을 지어 산세(山勢)을 잡아두었다고 합니다.
도선국사의 비보사찰사상(裨補寺刹思想)은
조선조에 들어 각 고을의 민속신앙과 결합하여
탑을 세우는 사탑비보, 숲을 조성하는 숲비보,
인공적으로 산을 만드는 조산비보, 장승을 세우는 장승비보,
연못을 만드는 못비보 등 다양한 양식으로 확산되었으며,
오늘날 우리나라 방방곡곡에 그 자취가 남아있습니다.
비보사찰(裨補寺刹)로 알려진 유명한 사찰은
서울 관악산의 관음사((觀音寺), 화순 천불산((千佛山))의 운주사(雲住寺),
순천의 향림사, 남원의 선원사, 승주 선암사, 진주 용암사 등이 있습니다.
![]() |
운주사(雲住寺)의 와불(臥佛) |
최근 큰 인기를 끓었던 드라마 추노의 촬영지로 유명한 운주사는
도선국사가 도력으로 천불천탑(千佛千塔)을 세웠다는 전설이 있으며,
운주사의 불상은 보통 사찰에서 볼 수 있는 형태와는 다르게
누워있는 와불(臥佛), 탑 안에 모셔져 있는 이불상(二佛像) 등
풍수(風水)와 비보(裨補)의 비밀을 간직한 채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마이템플 부적연구소 (http://mytemple.co.kr)
<마이템플 부적연구소의 자료는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