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천간(십간)과 지지(십이지)로 이뤄진 육십갑자 표 |
태세(太歲) 계산법 (삼재를 계산하는 방법)
앞선 자신의 삼재를 알아보는 법에서
올해를 갑오년(甲吾年)이라고 하고, 내년은 을미년(乙未年)이라고 했습니다.
이는 천간(天干)과 지지(地支)를 이용하여,
육십갑자(六十甲子)를 만들어 연도를 문자로 나타낸 것입니다.
우선 천간과 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간(天干)은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윗 단위를 이루는 열가지 요소로 십간(十干)이라고도 하며,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를 의미합니다.
지지(地支)는
육십갑자(六十甲子)의 아랫 단위를 이루는 열 두가지 요소로
동물을 상징하며, 십이지(十二支)라고도 합니다.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가 이에 해당됩니다.
OO년에서 첫 번째 칸에 들어갈 말을 천간이라고 하며, 문자로 "A"라 칭하며,
두 번째 칸에 들어갈 말은 십이지(12가지의 띠)이라고 하며,
문자로 "B"라고 칭합니다.
이것을 위의 문자로 바꾸어 보면 "AB"년이 됩니다.
이제 아래의 표를 통해 계산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태세(太歲) 계산법 표
올해 2014년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A"는 연도수의 끝자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올해 2014년은 4로 끝나므로 “갑(甲)”입니다.
"B"는 연도를 1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2013/12 = 167, 10으로 몫은 167, 나머지가 10이므로 “오(吾)”입니다.
따라서 올해는 갑오년(甲吾年)이 됩니다.
이번엔 내년 2015년을 60갑자로 바꿔보겠습니다.
"A"는 연도수의 끝자리가 5로 끝나므로 “을(乙)”입니다.
"B"는 2014/12 = 167, 11으로 나머지가 11이므로 “미(未)”입니다.
따라서 내년은 을미년(乙未年)이 됩니다.
육십갑자(六十甲子)
갑자(甲子) 을축(乙丑) 병인(丙寅) 정묘(丁卯) 무진(戊辰) 기사(己巳)
경오(庚午) 신미(辛未) 임신(壬申) 계유(癸酉) 갑술(甲戌) 을해(乙亥)
병자(丙子) 정축(丁丑) 무인(戊寅) 기묘(己卯) 경진(庚辰) 신사(辛巳)
임오(壬午) 계미(癸未) 갑신(甲申) 을유(乙酉) 병술(丙戌) 정해(丁亥)
무자(戊子) 기축(己丑) 경인(庚寅) 신묘(辛卯) 임진(壬辰) 계사(癸巳)
갑오(甲午) 을미(乙未) 병신(丙申) 정유(丁酉) 무술(戊戌) 기해(己亥)
경자(庚子) 신축(辛丑) 임인(壬寅) 계묘(癸卯) 갑진(甲辰) 을사(乙巳)
병오(丙午) 정미(丁未) 무신(戊申) 기유(己酉) 경술(庚戌) 신해(辛亥)
임자(壬子) 계축(癸丑) 갑인(甲寅) 을묘(乙卯) 병진(丙辰) 정사(丁巳)
무오(戊午) 기미(己未) 경신(庚申) 신유(辛酉) 임술(壬戌) 계해(癸亥)
이처럼 육십갑자는 60년을 주기로 다시 같은 해(갑자년)가 되므로,
60년만에 환갑이 되는 것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